이석증 증상 및 이석증 자가진단법

건강상식

어지러운 증상이 있으면 이석증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스트레스나 과로로 인해서 갑자기 어지러움 증상이 나타난다면, 몸의 이상 징후를 느끼게됩니다.  이럴 때에는 귀에 무리가 가게 되면서 어지럼증 증상을 일으킬 수 있으며 심한 경우 속이 울렁거리거나 구토 증상을 나타낼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석증 증상

 

어지러움 증세는 청각을 담당하는 달팽이관과 균형감각을 담당하는 전정기관은 몸의 위치나 회전 머리 위치 등 정보를 모으는 곳인데 이곳에 이상이 생기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어지러움을 느낄 수 있습니다. 귀 안쪽에 잘 붙어 있어야 할 이석이 외부 충격이나 기타 여러 다른 이유로 움직이면서 균형감각을 자극하는데 이때 어지러움을 느껴집니다.

 

이석증 증상

 

이석이 이탈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노화, 만성적인 스트레스, 과로, 면역력 저하, 교통사고 등에서의 머리 충격 등으로 인하여 나타나는 것이라 합니다. 이 때 떨어져 나온 이석으로 인하여 특정 방향으로 머리를 돌리거나 머리를 젖히거나 숙일 때, 누웠다가 일어날 때, 앉았다가 누울 때 세상이 빙빙 도는 듯한 갑자기 심한 현훈성 어지러움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라 합니다.

 

 

주로 50대 이상의 이석증 증상을 겪고 있는 환자들이 많이 있지만, 최근 과로 및 스트레스가 많은 젊은층에게도 많이 나타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이 증상이 나타날 때에는 이탈한 이석이 제자리를 찾게 되면서 자연적으로 치료가 되기도 하지만,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증상이 자주 나타나므로 이석증 증상 치료가 가능한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자세한 검사와 함께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치료는 이석이 위치한 곳에 따라 단 한번의 물리치료로 완치가 될수도 있고, 몇 번의 물리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이석증 증상

 

하지만 한 번 이석증 증상을 겪었던 환자의 경우에는 재발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평소 머리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석증 자가진단법

1. 어떤 특정한 자세로 머리를 움직일때마다 어지러움이 발생합니다. 

2. 1~2 분간의 어지러움이 있다가 가만히 있으면 어지러움이 사라집니다.  

3. 어지러움과 함께 구역질이 나기도 하고 힘들어서 식은땀이 나기도 합니다.  

 

이석증 증상

 

보통은 남자에 비해 여자들에게 많이 발생되며 연령별로는 물론 모든 나이에 발생될수 있으나 특히 노년에 많이 발생되며 소아에게 나타나는 경우는 드물다고 합니다.